
2005년에서 2007년 사이에, 나는 세장의 손뜨개 담요를 만들었는데,
그때는 공부 스트레스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한장 한장 뜨다가, 막판에 재미가 붙어서 여러가지 모양을 만들어내고 그랬었다. 크기는 1인용 트윈 침대 이불만한것.
지금 보이는 것이 1호 작품인데, 당시에 큰놈이 고등학생이었던터라, "우리 지팔이 대학에 들어가면 기숙사로 갈테니 기숙사 보따리에 엄마가 손뜨개질한 이불을 넣어주마" 했었다. 그 후에 재미가 붙어서 2호 작품 (아래)을 짰고, 솜씨가 절정에 이르렀을때, 우리 엄니를 위한 특별판을 하나 만들었었다. 네모칸 안에 사람, 자동차, 새, 뭐 그런걸 짜넣어가지고 이야기가 가득 들어간 이불을 만들어서, 우리 엄니 갖다 드렸다.
1호 작품을 지홍이는 집에서 사용했고 기숙사에는 가지고 가지 않았다. 1호 작품은 내가 워싱턴에서 지내는 동안 겨울에 정말 잘 사용하고 있다. 얇은 담요 위에 이거 덮으면 정말 따뜻하다. 며칠전에 청소하다가 지팔이 침대위에 덮어놨던 1호를 소파위에 걸치니 의외로 집안 분위기가 아주 좋아지는거라. (요새, Anthroplogies 나 뭐 멋쟁이들 패션몰에 가보면 이런 손뜨개질한 것으로 인테리어 장식을 하는 곳이 많다.) 그런데, 내가 작품을 살펴보니 파스텔톤으로 일치시킨 2호 작품보다, 야수파 그림을 연상시키는 1호 작품이 더 근사해보인다. 1번은 그냥 아무거나 닥치는대로 짠거고 2번은 일부러 실의 색깔을 잘 골라서 짠것인데, 우연성에서 빚어진 서툰듯한 작품이 오히려 예술성이 높아 보인다.

소파등에 걸쳐진 것이 1호
파스텔 계열의, 왕눈이가 덮고 있는것이 2호.
집에는 다채로운 색상의 저 털실 뭉치가 한바구니 가득있다. 이불 하나 더 짜도 될 분량이다... 요새 털실들이 자꾸만 나를 유혹을 하는데... 아직 손은 못 대고 있다.
내가 이 Granny Square 라고 미국 사람들이 부르는 모티브 짜기를 시작한 것은, 다분히 Nanny McPhee 영화의 영향때문이었을것이다. 지난 여름에 Nanny McPhee Returns 라는 후속작도 극장가서 찾아 보았지만, 몇해전의 그 내니 맥피의 '색상의 감동'을 나는 잊을수가 없다. 내니 맥피에 엄마를 잃은 아이들이 나오는데, 그 아이들의 침대가 알록달록하게 꾸며져 있었다. 모두, 손뜨개한 이불들이었다. 그때, 그것이 너무너무 예뻤던거라... (나는 지금도 내니 맥피 1편 2편 디비디를 사고 싶다는 생각을 한다. 색깔이 너무 예뻐서.)
나는 모티브 짜기 해서 조끼도 만들어 입고 싶고
모티브 짜기 해서 목도리도 만들고
모티브 짜기 해서 모자도 만들고
모티브 짜기 해서 방석도 만들고
온통 네모 네모 네모를 짜서 이리저리 연결시키면서 놀고 싶다는 생각을 가끔 한다.
하지만, 시작을 못한다. (그거 시작하면 폐인 될까봐.)
이제 결전의 나날들이다.
Thanks Giving 휴가기간동안 찬홍이 어플리케이션 준비 작업을 하기로 했다. 크리스마스 전에 입학신청 절차를 모두 마치고 크리스마스때 놀겠다는 야심찬 계획. 오늘도, 학교 카운슬러에게 보낼 자료를 작성해야 하는데, 찬홍이는 온종일 작업하고 있고, 나는 골치가 아파서 머리를 싸매고 앉아있다. 나도 어서 작성해서, 오늘 계획한 것을 모두 마쳐야만 한다...
대학원생들은 기말 프로젝트때문에 난리가 났을것이고, 나는 나대로 할일이 태산이다. 살면 살수록 더 큰 파도가 몰려오는것 같아. 그래도 학생때는 손뜨개 이불도 만들수가 있었는데, 이제는 그런 여유도 없으니, 사는게 왜 갈수록 힘들어지는가 하는 생각도 든다. 타이레놀이나 먹고, 마저 일을.
아, 12월 3일에는 스미소니안에서 인터뷰가 있다. 그것도 잊으면 안된다.
조각이불을 보고 있으면 마음이 따뜻해진다. 나는 이렇게 야금야금 다채롭게 만들어내는 삶이, 좋더라...
난 저거 가방 만들고 싶어요.. 줄 길게 달아서 메신저백처럼 착 매는거요.. 그 조그만것도 엄두가 안나는데 세상에 손으로 이불도 뜨는구나..@@
답글삭제그러게 대학가려면 저리 애쓰고 힘써야하는건데 울아들은 그나마 어찌 대학을 갔나 신기할 따름이에요..ㅡㅡ;;
우리 딸래미는 애를 좀 써야할텐데.. 제가 많이 배워요.. ^^
@사과씨 - 2010/11/22 22:05
답글삭제사과씨님은 정통파들의 패션 뜨개질에 '정통'하시쟎아요. 저는 성격이 단순한 패턴형이라서 아기자기한 것은 오히려 집중을 잘 못하고, 이런-진도 팍팍 나가는 일에 열 올리는 편이에요. 웹에서 granny square 이미지 검색해보면 온갖 작품들이 나오는데, 제것은 그들에 비하면 깨갱...
가방 뜨개질로 짠것 중에, 제 눈길을 사로잡은 것은 아직 못봤는데요, 말씀하신대로 작은 모티브뜨기 해서 만들어보면 겨울에 참 근사할거에요. 뜨개 가방은 완성후에 면으로 안감을 대줘야 겠죠. 끈이 문제인데...끈이 튼튼해야 폼이 사는데...UGG에서 나온 니트 가방을 살펴봤더니 끈은 가죽으로 소화시켰는데, 근사하더라구요. (짤것도 아니면서 눈여겨보기는 열심히 하지요...) 손잡이를 크래프트 샵 같은데서 플라스틱이나 그런걸로 사다 만들면, 거기서 분위기가 다 망가지더라구요. 역시 손 작품은 손으로 마무리르르 해줘야..아니면 가죽과 같은 천연소재를...
제가 큰애 대학 들어갈때, 전혀 챙겨주지를 않아서 큰애가 피좀 봤죠. 그것이 두고 두고 큰애한테 미안하지요. 플로리다에서는 애들이 다들 알아서 혼자서 어플라이하고 그랬는데, 그러면 되는줄 알았는데, 버지니아 올라와가지고 분위가 다른데서 애가 적응하는데 문제가 많았고, 나도 잘 도와주지 않았고. 결과적으로 큰애가 많이 다쳤지요. 결국 고생끝에 잘 매꿔냈지만 말이지요. 버지니아 올라오니까, 여기서는 부모가 애들 뒷바라지 안하면 이건 뭐 종신형 각오해야 할 정도로 공부 뒷바라지가 대단하더라구요...난 그렇게 안해주고 못해주고..그냥 애만 믿은 케이스라.
작은애도 다른집만큼 그렇게 열심히 뒷바라지는 못해줬어요. 그래도 입학 신청 할때 당황하지 않고 제 실력껏 학교 찾아갈수 있도록 제가 신경써서 옆에서 코치를 하는 정도이지요.
중앙일보에 매주 화요일마다 교육 특별판이 나오거든요. 그것이 제게는 아주 요긴한 정보가 됩니다. 특히 가을학기 시작되면서부터 매주 매주 입학 전문 상담가들이 '지금쯤 무엇이 되어 있어야 하고...' 뭐 이런식으로 기사들을 써줍니다. 그들의 조언대로 진도를 차근차근 나가는거죠. 참고할것은 오려두고, 무시할것은 그냥 지나가고. 그런데 그 교육쪽 정보가 꽤 의지가 됩니다.
12학년 올라가면 학교에서 학부모 오리엔테이션을 해서 기초 스케줄을 알려주기도 하고, 나중에 카운슬러가 애들 대학 입학 신청할때 추천서도 보내고 그래야 하니까, 카운슬러가 애들을 일일이 알수 없으니까, 카운슬러가 참고할만한 학생 관련 정보를 집에서 써서 보내줍니다. 집에서 준비를 잘 해서 보내면 카운슬러가 그것 옮겨다 적어 내기 좋겠지요.... 저는 그래서 카운슬러가 써먹기 좋도록 정보를 정리를 하는 편이지요. 작은놈이 드래프트 써온것을 오늘 몇시간동안 조리있게 정리하고 그랬습니다.
입학 신청용 에세이도 공동 양식도 있지만, 개별적으로 학교마다 특별한 주제를 주는 경우도 있으므로 몇가지 작성을 해야만 하는데, 일부는 지난 여름에 작성해 놓았고요. 이제 추수감사절때 본격적으로 작업을 하려는 것이지요.
제가 알기로는 입학신청용 에세이 작성하고 이런 과정 도와주는 '에세이 담당 과외 선생'들 벌이가 기업형으로 짭짤하다고 합니다. 입학신청 시기가 되면 무슨 족집게 도사 찾아다니듯 학부모들이 '누가 에세이 봐준 애가 하버드 갔다더라. 틀림 없다더라' 뭐 그런식으로 정보 주고 받으면서 만나러 다니고 그럽니다. 그러니까 초일류대학에 들어가는 학생들도 최종적으로는 그 대단하다는 선생님들의 첨삭을 받고 그러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렇게 우수하면 혼자 해도 되겠지만, 아주 작은 것이 당락을 결정할수 있으니까 역시 불안하겠죠.)
저는, 원래 성격이 태평족이고, 나도 대충 큰 사람이라서, 우리 애들 역시 스스로 알아서 자라기를 바랍니다. 다행히도 제가 미국식으로 교육 받았고, 컬리지 에세이의 속성을 모르지 않으니까, 그리고 글도 못쓰는 편은 아니니까, 찬홍이 에세이 정도는 제가 다듬어주려고 하는 것이지요.
큰애때, 제가 아예 손을 안대고 혼자서 알아서 하라고 다그친 '전과'가 있는지라, 그것이 미안해서, 이번에는 좀 꼼꼼히 챙겨주려고 합니다. 엄마로서 엄마가 할수 있는 것은 해주려는 것이지요.
너무 멋있어요. 저두 강렬한 1호가 더 맘에 들어요.^^ 뜨개질은 해본적 없는데 이것도 시간 꽤 걸리겠네요.
답글삭제@RedFox - 2010/11/23 06:05
답글삭제울로 된 실 을 좀 살까 하고 뒤적거리다 보니 저렇게 뜨개질한 걸 펠트로 만들어서 가죽 손잡이 단 백이 있는데 참 이쁘네요.. 뜨개질에 대한 열망이 무럭무럭.. ^^
.. 전 큰애 하이스쿨 주니어 시니어 였던 신문에 난 그 진학 가이드 이런걸 먼 남의 나라 얘기처럼 보고 살았어요.. 종신형보다 더한거 받게 생겼죠..ㅎㅎ.. 그럼 사형인가요?...그리고 여전히 아이가 대학 가는 데 있어 부모의 역할을 최소한으로 잡고 입어서 여기 열성파 한국 엄마들 보면 기함도 나고 참 기운도 좋다 싶고.. 그래요.. 때맞춰 무얼 준비해야 될 때인지가이드나 해주는 층게난간 역할이나 하야 겠다 싶어져요.. 일일히 공부 진도에 스펙까지 간섭하기엔 너무 게으른 엄마인데 주변을 돌아보면 살짝 미안한 생각이 들긴 해요.. 그래도 꿋꿋이 "공부할 놈은 지가 알아서 한다.. 이런 믿음으로다.. 아이고.." 딱한 녀석들 너무 무심한 엄마를 만났지요..엄마가 에세이도 봐줄수 있으니 찬홍군은 럭키한것 같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