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9월 11일 토요일

Edvard Munch Printings, National Gallery of Art

이미지는 클릭하시면 좀더 큰 사진으로 볼수 있습니다.

2010년 9월 4일 이은미 촬영

 

2010년 9월 5일 이은미 촬영

왼편의 대형 작품 사진은 뭉크의 Lonely One (쓸쓸한 사람)

 

워싱턴 디씨 내셔널몰, 국회의사당에서 지척인 거리에 있는 국립미술관 동관 (East Building)에서 현재 (2010년 7월 3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스웨덴의 미술가 Edvard Munch (1863-1944)의 판화 작품들이 전시되고 있다.

 

http://www.nga.gov/exhibitions/munchinfo.shtm  NGA의 뭉크 판화전 관련 페이지

http://www.nga.gov/exhibitions/2010/munch/index.shtm 전시회의 주요 작품을 사진으로 감상할수 있다.

 

위의 하일라이트에 소개가 되지는 않았지만, 내게 매력적이었던 연작은 뭉크의 Kiss. 그리고 여인의 머릿결과 파도가 서로 어우러지는 판화 작품이 너무 마음에 들었는데...바다에 누워서 둥둥 떠있을때 파도가 내 머리를 어루만지는 듯한 느낌이 드는.  옛날에 플로리다에서 공부할때, 머리 식히러 바다에 가면 바다위에 몸을 누이고 둥둥 떠다녔는데 (송장헤엄) 그때의 그 느낌. 몸의 균형을 잘 못 잡으면 그대로 물에 잠겨버리지만, 균형을 유지하면 마냥 둥둥떠다니는. 그 완벽한 평화로움. 그리고 잔잔한 물결. 그 작품의 사진이라도 갖고 싶었지만 기념품샵에도 나와있지 않았다.

 

그 유명한 '절규 (Scream)' 판화작품도 걸려있었고, 대체적으로 뭉크의 작품 세계를 한눈에 대충 보기에 좋은 판화 전시회였다. 

 

뭉크는, 내가 미국 주요 미술관들을 돌아다녀봤지만, 그의 작품을 만나기는 쉽지 않은 편이다. 피츠버그 카네기 미술관에서 발견한 사과나무 아래의 소녀그림이 분위기가 참 좋았고, 필라델피아 미술관에는 '인어' 그림이 있었다. 또 어디서 봤더라?  아무튼 뭉크의 회화 작품은 미국땅에 그리 흔치 않다.  그러니 판화작품을 연작으로 만나보는 것도 내게는 행운이라고 할 만하다.

 

뭉크의 판화들을 보니, 그는 한가지 모티브를 수십년에 걸쳐서 시도 하였다.

이번 전시회에 그런식으로 수십년간 재현해낸 주제들이

 * Kiss

 * Madonna

 * Vampire

 * Forest

이러한 것들.

 

나를 매혹시킨 연작은 Kiss.

내가 재미있게 본 작품은 성모 (Madonna) 시리즈.

 

만약에 뭉크 판화전을 보러가는 분이 내 글을 읽는다면, 이 성모 연작을 주의깊게 보실것을 권한다. 전시실 안쪽으로 들어가면 왼편에 최초의 마돈나 작품 (가장 초기의 작품)이 걸려있고, 오른쪽으로 이동하면서 세월이 지나간다.  그러면서 마돈나 작품이 조금씩 조금씩 변한다. 그런데 그 변화하는 것에서 어떤 윈리를 발견하게 된다.  뭉크가 애초에 그것을 의도했는지 우연의 일치였는지는 나도 알 수 없다. 나 혼자서 이 연작의 수수께끼를 풀었다는 느낌까지...들었다. 아니, 어쩌면 이것은 이미 뭉크가 의도했고 비평가들도 인지하고 있으며 큐레이터도 알고 있었던 사항일지도 모른다.

 

(나는 이미 두차례 이 전시회를 보고 왔는데, 아마도 전시기간중에 또 보러 가게 될 것 같다.)

 

뭉크의 '절규'가 우리들에게 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데, 그의 작품들 대부분이 그렇게 암울하다. 전시회에 들어서면서 '이건, 뭐 애드가 알란 포우 (Edgar Allan Poe)같군' 하는 느낌이 들었었다.  그런데 뭉크에 대한 자료를 좀 찾아보니, 뭉크가 일찌기 어머니를 잃었고, 신앙심이 강했던 아버지는 애드가 알란 포우의 이야기나 다른 귀신 이야기를 자식들에게 들려주길 좋아했다는 것이다. 결국 그렇게 연결이 되었던 것이군.  뭉크의 아버지는 아내를 잃고 자신이 아이들을 키우면서, 아이들에게 야단을 칠때면 "하늘나라에서 엄마가 너희들을 내려다보고 있다. 너희들의 잘못을 모두 알고 있다" 뭐 이런식으로 겁을 줬던 모양이다. 뭉크에게 엄마는 그리우면서도 무서운 존재가 되었을것이다. 그리고 이런 느낌이 그의 Madonna 연작에 반영이 된 것을지도 모른다.

 

이 전시회는 특별전시회라서 사진 촬영이 불가능하다. 그래서 입구 사진밖에 없다.

전시회는, 뭉크를 알건 모르건, 혹은 그의 정신질환적 분위기의 작품들을 좋아하건 안좋아하건 상관없이, 꽤나 매력적이다. 무서우면서도 달콤한 악몽같은. 꿈을 꾸는듯한 그런 분위기에 휩싸이게 된다.

 

뭉크의 Kiss 작품과 파도에 머리가 흔들리는 여인의 모습만큼은 아트포스터라도 구해서 갖고 싶다.

On the Waves of Love: http://www.munch.museum.no/grafikk/img/2/81.jpg

 

 

2010년 9월 5일 박찬홍 촬영

 

댓글 2개:

  1. "Art is your heart's blood."



    ****

    맨아래 사진 좋습니다.



    벽화속의 여인이 바라보는 것과...

    모델이 바라보는 것...

    다르겠지요?

    .

    .

    .

    아니, 같을 지도...



    ****

    마돈나의 변화가 궁금히지만...

    촬영금지라니...ㅠㅠ

    부탁은 접습니다.

    답글삭제
  2. 찬홍군 찍은 사진 좋습니다.. 그림의 일부가 되신듯..^^..

    저도 이거 또 보구 싶더라고요..

    전시 끝나기 전에 언제 날 좋은면 실렁 지하철 타고 다녀올가 싶기두 해요..

    답글삭제